[A+] 아동복지론 - 입양아동에 관련되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14 22:37
본문
Download : 아동복지론 - 입양아동에 대해서.hwp
오늘날 입양은 주로 부모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아동에게 가정을 제공해 주고, 아동을 양육하고 보호하기를 원하는 독신 혹은 부부의 바램을 충족시켜주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정옥희, 2011). A. Kadushin & J. A. Martin(1988)에 의하면, 입양이라는 사회복지제도의 목적은 입양아동의 입장에서는 입양이 아니면 얻을 수 없는 가족을 제공해주어 지속적이고 건전한 가족관계를 유지해 갈 수 있게 하는 것이며, 입양 부모의 입장에서는 불임부부가 부모가 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해 줌과 동시에 가문의 이름을 이어가게 하고 유산을 물려주는 수단을 제공해 주는 것이다(이정희2010). “아동복지론(박정란.서홍란, 2009개정)”에 의하면 입양은 부모가 없거나 부모가 있더라도 더 이상 보호할 수 없는 요보호아동에게 새로운 부모를 찾아 주어 이들이 가정이라는 테두리 안에서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합법적 제도이다.
2) 국내입양 국외입양
2. 입양절차
4) 국내입양 내역(2011.1.1 ~ 12.31)5) 국내 국외 장애 아동 입양 추이
reference
3) 입양신청
1) 입양개념
2) 입양장애아동의 양육보조금 및 의료지원제도
1. 입양개념 및 배경
3) 연도별 국내, 국외 입양아동 비율
5) 입양부모 교육
3) 의붓어버이, 기관, 독립, 지방자치단체 입양
Ⅲ. 입양 아동을 위한 복지대책
3) 입양에 대한 인식 improvement(개선) 확대
1) 입양문의
설명
3) 입양아동 양육수당 지급
2) 입양에 대한 상담
2. 입양 아동을 위한 복지 실천방법
2) 입양 후 사후 서비스
2) 입양배경
아동복지론, 입양아동
Download : 아동복지론 - 입양아동에 대해서.hwp( 45 )
7) 가정조사항목 강화와 시험양육기간의 도입
2. 입양종류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순서
1. 입양제도의 결점에 대한 대책방안
아동복지론 - 입양아동에 관련되어





3. 입양내역 및 reality(실태)
7) 입양 후 가정방문(사후관리)
1. 입양槪念 및 배경
Ⅰ. 입양槪念 및 배경과 종류
4) 개별면접 및 가정방문(가정조사)
4) 국내 입양아동 사후관리
1) 입양대상 아동 발생 예방
1. 입양조건
1) 입양아동에 대한 의료급여
1) 공개입양 비밀입양
8) 입양의 취소
2) 연도별 국내입양, 국외입양 추이 및 비율
5) 해외 입양아동 사후관리
1) 요보호아동 내역
1) 입양槪念
다.
6) 아이 선보기와 입양
Ⅱ. 입양조건과 절차
Ⅰ. 입양개념 및 배경과 종류 1. 입양개념 및 배경 1) 입양개념 2) 입양배경 2. 입양종류 1) 공개입양 비밀입양 2) 국내입양 국외입양 3) 의붓어버이, 기관, 독립, 지방자치단체 입양 3. 입양현황 및 실태 1) 요보호아동 현황 2) 연도별 국내입양, 국외입양 추이 및 비율 3) 연도별 국내, 국외 입양아동 비율 4) 국내입양 현황(2011.1.1 ~ 12.31)5) 국내 국외 장애 아동 입양 추이 Ⅱ. 입양조건과 절차 1. 입양조건 2. 입양절차 1) 입양문의 2) 입양에 대한 상담 3) 입양신청 4) 개별면접 및 가정방문(가정조사) 5) 입양부모 교육 6) 아이 선보기와 입양 7) 입양 후 가정방문(사후관리) 8) 입양의 취소 Ⅲ. 입양 아동을 위한 복지대책 1. 입양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대책방안 1) 입양대상 아동 발생 예방 2) 입양 후 사후 서비스 3) 입양에 대한 인식 개선 확대 2. 입양 아동을 위한 복지 실천방법 1) 입양아동에 대한 의료급여 2) 입양장애아동의 양육보조금 및 의료지원제도 3) 입양아동 양육수당 지급 4) 국내 입양아동 사후관리 5) 해외 입양아동 사후관리 6) 자조모임 활성화 7) 가정조사항목 강화와 시험양육기간의 도입 참고문헌
6) 자조모임 활성화
Ⅰ. 입양개념 및 배경과 종류
일반적으로 ‘입양’(adoption)은 부모사망, 질환, 이혼, 가출, 미혼모 등의 이유로 친가족이 해체된 아동을 위해서 사회가 친가족을 대신할 수 있는 대리가족을 제공해 주는 것을 의미한다(이정희, 2010). 법제처 ‘찾기 쉬운 생활법령정보’에서 입양이란 혈연적으로 친자관계가 없는 사람 사이에 법률적으로 친자관계를 맺는 신분행위라고 定義(정이)내리고 있다. 법으로는 입양의 목적과 槪念을 아래와 같이 定義(정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