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동북아 물류중심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26 20:42본문
Download : 한반도의 동북아 물류중심지.hwp
한반도의동북아물류중 , 한반도의 동북아 물류중심지법학행정레포트 ,
다.
순서






한반도의동북아물류중
한반도의 동북아 물류중심지
한반도의 동북아 물류중심지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
Download : 한반도의 동북아 물류중심지.hwp( 50 )
설명
목 차
Ⅰ. 서 론·・・・・・・・・・・・・·・・・・・・・・・・・・·・····・・・・・・・・・・・・·・・·1
Ⅱ. 본 론
1. 물류 중심화의 의의와 추진方案·・・・・・・・・・・・・·・・·・・・・·2
2. 동북아 지역의 일반동향·・・・・・・・・・・・・·・・·・・・・··・・・・・・・4
―사회·경제적 동향을 중심으로
3. 최근 외국 사례(instance)와 동향·・・・・・・・・・・・・·・・·・・・・··・・・・・・・・・·4
1) 로테르담/싱가포르등의 사례(instance) ·・・・・・・・・・・・・·・・·・・・・··・ 4
2) 항만배후의 대규모 물류센터 건설 ・・・・・・・・・・・・·・・·・・・・·6
3) 자유무역지대의 설치·・・・・・・・・・・・・·・・·・・・・··・・・・・・・・・・・··6
4) 중심항 기능 수행을 위한 EDI망의 구축 ·・・・・・・・・・・・・·・・7
5) 政府에 의한 항만건설과 민간에 의한 운영·・・・・・・・・・・・・· 7
6) 시사점·・・・・・・・・・・・・·・・·・・・・··・・・・・・・・・・・・·・・·・・・・··・・・・·7
4. 동북아 지역의 물류 인프라 동향
1) china(중국) 동북3성·・・・・・・・・・・・・·・・·・・・・··・・・・・・・・・・・・·・・·・・・・8
2) 러시아 극동 지방·・・・・・・・・・・・・·・・·・・・・··・・・・・・・・・・・・·・・·9
(1) 블라디보스톡항·・・・・・・・・・・・・·・・·・・・・··・・・・・・・・・・・・·・・··11
(2) 나호드카항·・・・・・・・・・・・・·・・·・・・・··・・・・・・・・・・・・·・・·・・・11
(3) 보스토니치항·・・・・・・・・・・・・·・・·・・・・··・・・・・・・・・・・・·・・·・・·11
(4) 자루비노항·・・・・・・・・・・・・·・・·・・・・··・・・・・・・・・・・・·・・·・・・・·11
(5) 포시에트항·・・・・・・・・・・・・·・・·・・・・··・・・・・・・・・・・・·・・·・・・・·11
3) 몽 골·・・・・・・・・・・・・·・・·・・・・··・・・・・・・・・・・・·・・·・・・・··・・・・・・12
4) 북 한·・・・・・・・・・・・・·・・·・・・・··・・・・・・・・・・・・·・・·・・・・··・・・・・・13
5. 동북아 물류중심화의 부문별 책략점검
1) 해운부문·・・・・・・・・・・・・·・・·・・・・··・・・・・・・・・・・・·・・·・・・・····14
2) 航空(항공) 부분·・・・・・・・・・・・・·・・·・・・・··・・・・・・・・・・・・·・・·・・・・····19
3) 철도부문·・・・・・・・・・・・・·・・·・・・・··・・・・・・・・・・・・·・・·・・・・····20
가. 남북철도·・・・・・・・・・・・・·・・·・・・・··・・・・・・・・・・・・·・・·・・・・··20
나. 시베리아(TSR) 횡단철도・・・・・・・・・・・・·・・·・・・・··・・・・・・・・21
4) 역내물류·・・・・・・・・・・・・·・・·・・・・··・・・・・・・・・・・・·・・·・・・・··24
5) 정보시스템·・・・・・・・・・・・・·・・·・・・・··・・・・・・・・・・・・·・・·・・・・· 25
6) 물류단지·・・・・・・・・・・・・·・・·・・・・··・・・・・・・・・・・・·・・·・・・・··· 26
6. 현행 동북아 물류체계의 문제점(問題點)과 개선方案
1) 물류 체계의 문제점(問題點)·・・・・・・・・・・・・·・・·・・・・··・・・・・・・・・・・・ 28
(1) 국제물류거점시설의 부족·・・・・・・・・・・・・·・・·・・・・··・・・・・・・・28
(2) 지역피더항 연계계획의 결여·・・・・・・・・・・・・·・・·・・・・··・・・・・28
(3) 민영화의 부진과 경직적인 항만노동제도 ·・・・・・・・・・・・・·・・·29
(4) 정보화의 지연 ·・・・・・・・・・・・・·・・·・・・・··・・・・・・・・・・・・·・・·29
(5) 물류 업체간, 관계 부처간 협조체제 미흡·・・・・・・・・・・・・·・・· 29
(6) 관세행정 등 물류분야의 규제완화 미흡·・・・・・・・・・・・・·・・·· 30
2) 물류 체계의 개선方案·・・・・・・・・・・・・·・・··・・・・・・・・・・・・·・・·30
(1) 동북아 물류 중심기지의 선정·・・・・・・・・・・・・·・・··・・・・・・・・ 30
(2) 환적화물 유치와 국제 물류센터 설치·・・・・・・・・・・・・·・・··・ 33
(3) 국내 연안 피더체계의 구축·・・・・・・・・・・・・·・・··・・・・・・・・・・ 35
(4) 항만 운영의 효율성 제고·・・・・・・・・・・・・·・・··・・・・・・・・・・・ 36
Ⅲ. 결 론·・・・・・・・・・・・・·・・··・・・・・・・・・・・・·・・··・・・・・・・・・・・ 37
※ 참고 문헌·・・・・・・・・・・・・·・・··・・・・・・・・・・・・·・・··・・・・・・・・ 39
러시아 극동지역의 철도망은 아무르주, 유태자치주, 하바로프스크, 연해지역을 통과하는 시베리아횡단철도(TSR), 아무르주와 하바로프스크 지방을 통과하는 바이칼 아무르철도 및 양선을 연결하는 지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간노선인 시베리아횡단철도는 극동과 러시아의 다른 지역을 연결하는 국내수송의 역할만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 극동지역의 주요 항만을 통한 연계수송에 의해 러시아 및 그 인접지역(구주, china(중국) , 몽골, 카자흐스탄 등)과 아시아태평양 국가들을 연결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대외 연계노선으로는 china(중국) 과는 우스리스크˜포그라니치누이˜수분하˜모단강선이 있으며, 북한과는 블라디보스톡˜…(省略)
,법학행정,레포트
레포트/법학행정
한반도의 동북아 물류중심지에 대해 조사한 資料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