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tocol.co.kr 접동새-김소월시 > protocol4 | protocol.co.kr report

접동새-김소월시 > protocol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protocol4

접동새-김소월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7 09:21

본문




Download : 접동새-김소월시.hwp




의붓어미 아래서 괴로움을 받는 아홉 형제가 접동새로 환생한 `누나`의 오…(省略)
접동새-김소월시에 대한 분석, 요약 요약하고 있다. 접동새-김소월시 , 접동새-김소월시감상서평레포트 ,


접동새-김소월시





설명






접동새-김소월시

ꁶ key point(핵심) 요점
▶ 감상의 초점
이 시는 민담에서 소재를 시화한 작품이다.
접동새-김소월시_hwp_01.gif 접동새-김소월시_hwp_02.gif 접동새-김소월시_hwp_03.gif 접동새-김소월시_hwp_04.gif
순서



Download : 접동새-김소월시.hwp( 68 )



레포트/감상서평

,감상서평,레포트
다.---(김용직, <김소월전집> p.177)
그러나 이러한 풀이는 이 시의 소재가 된 민담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혼란을 일으킨다. 즉, “시집간 누나가 시아버지의 후실인 의붓어미의 시샘을 견디지 못해 원통하게 죽었고, 그리하여 그 누나의 원혼이 이승을 떠나지 못하고 접동새가 되어 밤마다 고향집 동생들을 찾아와 슬피 운다”는 전설에서 그 제재를 끌어온 작품으로 민요적인 가랄과 정조를 근대시로 살려 놓은 점이 값지다고 할 수 있따
민요의 대체적인 모티브가 되고 있는 ‘불행하고도 비극적인 생활과 사랑의 정한’, ‘채워지지 않는 사랑과 그리움 그리고 그 별리의 정한’ 등이 이 시에 나타나 있따 진두강 가에 살던 한 소녀가 죽어 접동새로 재생한 것은 혈육의 사랑 때문이라는 휴머니즘적 측면을 살펴보자.
▶ 성격 : 전통적, 애상적, 민요적, 향토적
▶ 표현 : 의서어를 통해 육친의 정을 표출
▶ 구성 : ① 접동새의 울음 소리(제1연)
② 죽은 누이의 울음 소리의 재생(제2연)- 진두강 강가에서 우는 접동새
③ 의붓어머니의 시샘에 죽은 누이(제3연)
④ 죽은 누이와 접동새의 동일화(제4연)
*제3-4연 : 접동새의 전설(죽은 누나=접동새)
⑤ 애절한 혈육에의 정한(제5연)- 접동새가 우는 이유
▶ 제재 : 접동새 설화(서북 지방)
▶ 주제 : ① 현실의 비극적 삶을 초극하려는 애절한 혈육의 정.=육친(肉親)과 의 애정(愛情)에서 숨어있는 정한(情恨).
② 식민지 지식인의 허무 의식
▶ 참고시 : 서정주의 <귀촉도>, <소쩍새>

[`아우래비`와 ‘오랍동생(오랩동생)’에 대하여]
아우래비는 감탄사 `아`와 `우래비`로 본 일도 있으나 `아웁(아홉) 오래비` 곧 `아홉 오빠`로 봄이 옳고, `오랩 동생`은 `오래비 동생`으로서 오빠와 동생을 뜻한다고 한다. 접동새-김소월시에 대한 분석, 요약 정리하고 있다.
전체 17,954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protocol.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