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에게 culture는 있는가 -최준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23 20:58본문
Download : 한국인에게 문화는 있는가 -최준식-.hwp
우리나라 사람들은 예부터 제천행사 때 술 마시고 노래하고 춤추기를 몇 날 며칠씩 반복했다는 기록이 고서에 나온다. 그만큼 한국인의 정신적 뿌리 면면에는 무교가 자리 잡고 있다는 게 그의 지적이다.
한국인에게 culture는 있는가 -최준식-
레포트/인문사회






사회학
Download : 한국인에게 문화는 있는가 -최준식-.hwp( 69 )
1) 서론
- 책 선정 이유와 이 책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는 점
2) 본론
1. 책 내용의 요점와 저자의 주장과 근거
-들어가는 말
-본문 1부 한국인의 가족 집단주의
2부 한국인의 권위주의와 배타성
3부 한국인의 신명과 예술성
-맺음말
2. 비판할 점
3. 사회학적으로 학습한 점
3) 결론
- 본론의 내용 요점와 해결책 제시, opinion(의견) 요점와 앞으로의 처리해야할문제
3부 한국인의 신명과 예술성
저자는 마지막 장을 ‘한국인의 영원한 종교, 무교’라는 말로 스타트한다.사회학 , 한국인에게 문화는 있는가 -최준식-인문사회레포트 ,
「한국인에게 culture는 있는가」에 대한 글입니다. 이러한 성향은 지금까지도 여전하다. 한국 history에 걸쳐 외국에서 들어온 종교들은 무교를 자기 종교화시키지 못하고 오히려 자기들이 무교화된다 그것은 이 땅의 기층 민중들이 무교적 성향을 띠기 때문이다 그러면 한국인의 무교적 성향이란 무엇인가? 저자는 우리의 놀이文化(문화)를 예로 들어 설명(explanation)한다. 이성이나 논리가 설 자리가 없는, 엄청난 에너지가 폭발하기에 뜨거운 열정은 있어도 차가운 이성은 없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어딜 가나 신명나게 마시고 노래하며 춤춘다. 한국무교의 核心(핵심)은 바로 노래와 춤이다. 굿판에서 벌이는 난장판이 우리네 모습이다. 이는 힘은 솟아나되 그 힘의 방향을 제시하는 이정표가 없어 극단적으로 흐르기 쉬운 한국인의 특성(特性)을 설명(explanation)한다…(省略)
,인문사회,레포트
다. 이런 무교적 성향이 깔린 한민족은 노래나 춤, 그리고 음주를 좋아하고, 그것도 신바람이 나서 원초적인 카오스 상태까지 치닫는 것은 바로 한국무교의 effect이라고 말한다.
설명
순서
「한국인에게 문화는 있는가」에 대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