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관계학과,한일관계의 이해 ] 일본文化(culture) 의 특징(할복)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18 06:38본문
Download : 일본문화의특징.hwp
따라서 가이샤쿠를 맡은 자는 할복자의 고통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단칼에 목을 날릴 수 있는 검술을 지녀야 했다. 그러나 가이샤쿠라는 보조수단을 택하지 않았다는 점에서는 중세 할복의 성격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아
◆서지사항◆
Download : 일본문화의특징.hwp( 42 )
Ⅱ. 독특한 Japan의 자결 文化(문화)
서구문명이 정착하고 칼 대신 총과 대포가 발달한 근 - 현대에 여전히 칼로 자결하는 할복자는 생겨났다. 이는 사형 집행에 따른 할복을 할 경우 만일 처형자가 할복할 때 반발하여 난동을 부릴 위험성을 배제하기 위해서라고 해석한다. 그리고 가이샤쿠는 할복자와 아무 관련이 없는 자가 아니라 아주 절친한 관계에 있는 자가 맡는 것도 매우 특정적이다. 무사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자살방법으로 할복이라는 수단을 택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이다.
아주 좋은 자료입니다. 그의 할복은, 명치가 자신이 죽거든 하라는 말에서 볼 수 있듯이 주군의 허락을 받고 순사하는 근세 무사의 할복과 같다. 그는 러시아와의 전쟁에서 이겼지만, 그 전투에서 수많은 부하들을 전사시켜 그 죄책감으로 자결을 결심한 적이 있다아 그 때 명치가 “노기여, 만일 그대가 죽음을 원한다면, 내가 죽고난 후에 하라.”고 하며 그의 행동을 말린 적이 있다고 한다. 이런 의미에서 볼 때 노기 마레스케와 아나미 고레치카, 미시마 유키오는 이 시대를 대표하는 상징적인 인물이 아닐 수 없다. 그는 러일 전쟁에서 승리를 이끈 무장이며 육군대장을 역임한 바 있는 인물이었다. 명치가 1912년 요독증으로 사망하자, 그는 정말로 부인과 함께 할복 자결하고 말았다. 두 번째 특징은 할복한 뒤 내장을 들어내는 행위가 없어졌다는 점이다.
근세에는 할복이 Japan 사회 전역에 자살의 수단으로 유해했다.
4. 근 - 현대의 노기, 아나미, 미시마의 할복
Ⅵ. 사라져가는 Japan의 할복
일본문화, 할복, 하라기리, 하라키리, 할복자살, 자살, 무사도, 일본
아주 좋은 資料입니다. 즉, 할복자가 배도 가르기 전에 가이샤쿠를 해 버리는 경우이다. 내장을 표출하는 할복을 집행인에 대한 강력한 반발의 표현으로 보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이다 세 번째로는, 배를 가르지 않는 할복의 처형도 있었다는 점이다. 그 수가 이전의 시대보다 많지는 않지만 천황이 죽었거나, 전쟁에 패했을 때, 또 사회개혁을 위하여 자기주장을 관철시키려고 했을 때 할복자들이 등장했던 것이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⑴노기 마레스케
Ⅴ. 할복의 시대적 變化
Ⅲ. 왜 하필 배인가?
[국제관계학과,한일관계의 이해 ] 일본文化(culture) 의 특징(할복)
노기 마레스케는 당시 천황이었던 명치가 죽자 할복 자결하였다. 즉, 하나는 주군의 죽음에 따라 죽는 순사로서의 할복이고, 또 다른 하나는 특권 계급의 무사들에게만 주어지는 형벌로서의 할복이었다. 그러나 이 시대 할복의 특징은 무사들에게서 나타나는데, 대개 그들의 할복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의미에서 행하여졌다.
1. 노성환, 『젓가락 사이로 본 Japan文化(문화)』, 교보문고, 1997
Ⅶ. 결론
◆서지사항◆
설명
이 시대를 눈여겨 살펴보면 그 이전 시대와는 사뭇 다른 형식적인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아 그 첫째가 가이샤쿠가 형식화되어 등장한다는 점이다. 그런 그가 명치가 죽자 할복 자결한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다.





2. 윤상인 외 공저, 『Japan을 강하게 만든 文化(문화)코드16』, 나무와 숲, 2000
순서
Ⅳ. Japan인의 복부에 대한 관념
Ⅰ. 서론
3. 근세의 할복(1603년~1867년 명치천황에게 전권이 위임되는 시기)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