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을 위한 미술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29 11:48본문
Download : 인간을 위한 미술교육.hwp
또한 도식은 대상에 대하여 뿐만 아니라 공간과 형태에도 적용된다
이 단계에서 가장 큰 발견은 공간 관계에 질서가 있음을 발견하는 것이다. 우리가 앞에서 살펴보았던 인물표현에 대한 설명(說明)은 대상과 공간의 도식적인 표현에서도 거의 대부분 그대로 적용된다 도식은 시각적이거나 비시각적인 경험에서부터 처음 된다고 할 수 있따 공간 도식은 대부분이 관념적이며 어른들이 가지고 있는 자연에 대한 concept(개념)과는 상당히 다르다고 할 수…(省略)
인간을 위한 미술교육
로웬펠트·브리테인 지음 , 인간을 위한 미술교육예체능레포트 ,
로웬펠트·브리테인 지음
레포트/예체능
설명
다. 도식은 대상이나 공간의 반복된 표현을 통해 확립된 것이다.
,예체능,레포트






Download : 인간을 위한 미술교육.hwp( 91 )
순서
1. 미술을 통한 인간 교육의 의미
2. 성장기에 따른 미술 표현의 특징
1) 난화기 - 자아표현의 처음 (2~4세)
2) 전도식기 - 재현의 첫 시도 (4~7세)
3) 도식기 - 형태concept(개념)의 습득 (7~9세)
4) 또래집단기 - 사실표현의 처음 (9~11세)
5) 의사실기 - 합리적인 표현 (11~13세)
6) 결정기 - 창의적 활동의 위기
7) adolescent(청소년)기의 미술
3. 맺음말
여기에서 의미하는 도식이란 의도적인 경험으로도 alteration(변화) 시키지 못할 정도로 계속 반복해서 이루어진 어린이의 concept(개념)이라고 할 수 있따 이런 concept(개념)들은 매우 개별적이다. 도식의 차이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한 것이지만, 똑같은 두 아이가 있을 수 없듯이, 동일한 도식도 존재할 수 없다. 즉, 도식은 성격의 차이와 어린이들이 concept(개념)을 형성하는 동안 교사가 얼마나 그들의 수동적 지식을 활발하게 구체화시켰느냐의 정도에 좌우된다 하지만 조식을 형성시키기 위해 어떤 특별한 노력을 하지 않더라도 대부분의 어린이들은 7살 정도가 되면 이 단계에 이르게 된다
사물에 대한 도식은 어린이가 최종적으로 도달한 concept(개념)이며 대상에 대한 어린이의 역동적인 지식을 표현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