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tocol.co.kr 물리결과-줄의진동 > protocol2 | protocol.co.kr report

물리결과-줄의진동 > protocol2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protocol2

물리결과-줄의진동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25 17:58

본문




Download : 물리결과-줄의진동.hwp




따라서 정확하지 않은 진동수 측정이 오차를 가져왔을 것이다.




그리고 사실 줄은 강체가 아니기 때문에 선밀도가 일정하지 않다.



물리결과-줄의진동
①주파수 변화(길이와 장력 고정)에 따른 줄의 진동



역시 ①번 實驗과 비슷한 요인으로 인한 오차가 발생했다.

진동수는 고정시키고 줄의 길이를 바꿔서 식의 변형을 통해 이 식을 얻었고 진동수 f을 고정시켜서 n과 L의 비 값을 통해 선밀도를 구했다.
굵은 줄로 바꿔서 ①번 實驗을 수행했다.
약 14%의 오차가 발생했는데 그 이유로는 측정값으로는 n과 f가 정비례로 나왔지만 이는 사실 정확한 측정값이 아닐것이다. 가는 줄에 비해서 정상파의 모습이 더 잘 보였다. 1)가는 줄의 진동





1)가는 줄의 진동 ①주파수 변화(길이와 장력 고정)에 따른 줄의 진동 줄을 진동시키면서 정상파가 일어나는 부분을 0.1Hz단위로 찾으면서 정상파의 파형과 가장 유사한 곳을 찾았다. 그리고 최대 진폭일 때를 찾아서 정상파임을 판별해야 했는데, 이 과정이 상당히 주관적이었다. 따라서 줄에 장력이 가해져 길이가 늘어나게 되면 선밀도 또한 달라진다. 따라서 정확한 實驗을 위해서는 각각의 진동수를 따로따로 찾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순서
②길이變化(변화)(주파수와 장력 고정)에 따른 줄의 진동

줄의진동,진동

Download : 물리결과-줄의진동.hwp( 69 )


다. 또한 觀察 과정에서도 문제가 있었다. 그런데 ①번에 비해 큰 오차가 발생했는데 그 이유는 파형구동자를 움직이자 고정되지 않은 줄도 함께 진동하는 걸 발견할 수 있었다. 결국 파형구동자의 에너지가 모두 줄로 전해지지 않고 일부 손실된 것이다. . 기본 진동수를 찾은 뒤 그 진동수의 2, 3배로 설정하여 정상파가 생김을 觀察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줄이 위아래로만 움직이지 않고 좌우로도 흔들리는 모습을 보였다. 사람의 눈으로 정상파인지 아닌지를 觀察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실제로 정상파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정상파 진동수로 측정했을 가능성도 있다 그리고 진동할 때 고정된 줄 뿐만 아니라 도르래 밑의 줄과 진동추 자체도 흔들려서 주어진 진동수의 에너지가 모두 고정된 줄에 가해지지 못했다.

줄을 진동시키면서 정상파가 일어나는 부분을 0.1Hz단위로 찾으면서 정상파의 파형과 가장 유사한 곳을 찾았다.
①번 實驗에서와 마찬가지 이유로 오차가 발생하였다.

물리결과-줄의진동-8001_01_.gif 물리결과-줄의진동-8001_02_.gif 물리결과-줄의진동-8001_03_.gif 물리결과-줄의진동-8001_04_.gif 물리결과-줄의진동-8001_05_.gif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설명
위의 식을 얻었고 길이 L을 고정시켜서 n과 f의 비 값을 통해 선밀도를 구했다.
전체 17,995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protocol.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