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tocol.co.kr [경영전략(strategy)] 포스코(POSCO)의 지속가능경영 > protocol1 | protocol.co.kr report

[경영전략(strategy)] 포스코(POSCO)의 지속가능경영 > protocol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protocol1

[경영전략(strategy)] 포스코(POSCO)의 지속가능경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5-05 08:45

본문




Download : 포스코 지속가능경영.hwp






포스코(POSCO)의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A+ report
포스코, 멈추지 않는 진화 - 포스코 PI 프로젝트 추진팀, 2002
1. 포스코 기업紹介(소개)


www.mk.co.kr

설명
쇳물에 흐르는 푸른 청춘 - 이대환, 아시아, 2006
www.steeldaily.co.kr



세계 Big3 철강기업들의 글로벌전략(strategy) 사례(instance)연구 - 윤수결 외, 포스코경영연구소, 2005
철강 산업의 산업 연관효과(效果) 분석 - 최동영, 포스코 경영 연구소, 2007
[경영전략(strategy)] 포스코(POSCO)의 지속가능경영


2. 철강 산업 분석

우리나라에서 종합제철공장을 설립하고자 했던 시도는 50년대부터 있어왔다. 동해안의 삼척과 묵호, 울산과 포항, 남해안의 부산, 마산, 삼천포, 여수, 목포, 서해안의 군산, 장항, 인천 등 18개의 지방이 후보지로 떠올랐다. 한편 그해 9월 11일에 정부는 종합제철을 건립하고 운영해 나갈 실수요자를 ‘대한중석’으로 결정했다.
www.worldsteel.org

포스코 지속가능경영-3338_01_.gif 포스코 지속가능경영-3338_02_.gif 포스코 지속가능경영-3338_03_.gif 포스코 지속가능경영-3338_04_.gif 포스코 지속가능경영-3338_05_.gif
포스코 대대적인 혁신으로 민영화 성공 - 라이터스 편집부, 라이터스, 2006
포스코(POSCO)의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A+ 레포트 [참고자료] www.posco.co.kr poscoweekly.co.kr news.posco.co.kr www.seri.org www.worldsteel.org www.steeldaily.co.kr www.hankyung.com www.mk.co.kr www.hani.co.kr steel.ebn.co.kr 강한 현장이 강한 기업을 만든다.

news.posco.co.kr

디지털 포스코 : PI 프로젝트 추진기 - 포스코 PI 프로젝트, 2001

[참고data(資料)]
4. 포스코 지속가능경영



포스코 35년사 - 포스코, 2004
www.posco.co.kr
강한 현장이 강한 기업을 만든다. 그리고 공장부지의 매입을 스타트하는 등 본격적인 제철소 건설 사업을 추진해 나가기 스타트했다. - 허남석과 포스코 사람들, 김영사, 2009 신 성장시대 글로벌 철강 산업의 도전과 기회 - 포스코경영연구소, 한국철강신문, 2008 철강 산업의 산업 연관효과 분석 - 최동영, 포스코 경영 연구소, 2007 쇳물에 흐르는 푸른 청춘 - 이대환, 아시아, 2006 포스코 대대적인 혁신으로 민영화 성공 - 라이터스 편집부, 라이터스, 2006 세계 Big3 철강기업들의 글로벌전략 사례연구 - 윤수결 외, 포스코경영연구소, 2005 포스코 35년사 - 포스코, 2004 포스코, 멈추지 않는 진화 - 포스코 PI 프로젝트 추진팀, 2002 디지털 포스코 : PI 프로젝트 추진기 - 포스코 PI 프로젝트, 2001
포스코경영관리, 포스코hrm, 포스코경영연구소, 포스코 국제경영, 포스코 경영혁신
5. 향후 전망
www.seri.org
다. 이어서 1966년 12월에는 미국, 서독, 영국, 이탈리아의 4개국 7개 회사가 참여해서 대한국제제철차관단(KISA)이 발족되었다. 그러나 1969년 2월 세계은행이 “한국에서의 일관제철소 건립은 시기상조이며 건립의 타당성이 없다. 대한중석은 박태준 사장이 운영하고 있었는데 박태준 사장은 대한중석의 사장으로 취임하여 단기간에 경영을 정상궤도에 올려놓음으로써 널리 경영능력을 인정받고 있었다.




순서

신 성장시대 글로벌 철강 산업의 도전과 기회 - 포스코경영연구소, 한국철강신문, 2008
그러나 1965년 박정희 대통령은 미구그이 코퍼즈사 포이 회장과 한국에서의 종합제철공장 건립을 논의하게 됨으로써 실마리를 찾게 되었다. 5.16혁명 이후 집권한 박정희 대통령도 우리나라에 종합제철공장을 세우려고 다각도로 검토했으나 제철산업이 장치산업으로부터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는 characteristic(특성) 때문에 초기에는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었다. 정부에서는 그 해 10월 3일 포항의 교외에서 종합제철 공업단지 기공식을 거행했다. 미국에서 돌아오는 길에 박태준 사장은 소위 ‘하와이 구상’이라고 하는 자금조달 방법을 생각해 내게 되었고, 이 구상을 박 대통령이 받아들여서 추진하게 되었다. 대한 국제제철 차관단이 제철소 건설 추진사업을 진행해 나가기 스타트하자 정부는 제철소가 들어설 장소를 물색하기 스타트했다.
www.hankyung.com
3. SWOT 분석
www.hani.co.kr
정부에서는 각 지방의 입지조건을 검토한 끝에 1967년 6월, 최종적으로 지원시설과 투자 면에서 가장 유리한 포항으로 결정했다.”라는 평가를 내렸고 이 평가를 이유로 그때까지 불분명한 자세를 보여 오던 대한국제제철차관단(KISA)이 차관의 공여를 기피하는 바람에 종합제철 건설 사업은 좌초되고 말았다. 그러나 당시 우리나라의 경제사정상 외자도입이 불가능함에 따라 그러한 시도들은 번번이 실패하고 말았다. - 허남석과 포스코 사람들, 김영사, 2009
steel.ebn.co.kr
poscoweekly.co.kr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Download : 포스코 지속가능경영.hwp( 30 )


곧이어 그해 11월 8일, 정부는 박태준 대한중석 사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종합제철사업 추진위원회’를 구성해서 11월 10일 발족시켰다. 이렇게 종합제철공장의 설립사업은 스타트되고 있었다. 박태준 사장과 정부의 관계자들이 미국에 가서 대한 국제제철 차관단의 대표를 만나 설득했으나 효능는 없었다.
전체 17,885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protocol.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