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조작적 조건형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3 17:54
본문
Download : [심리학] 조작적 조건형성.hwp
이와 마찬가지로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어떤 행동의 결과가 긍적적이냐 혹은 부정적이냐에 따라서 그 후속 행동의 강도가 결정되며 이를 效果의 법칙이라 한다.
Ⅲ. 강화
상자test(실험) 에서 지렛대를 누르는 reaction 이 형성된 이후 이 reaction 을 유지하려면 먹이와 같은 보상이 계속 주어져야 한다. 이를 발전시켜 Skinner는 인간의 행동이 어떤 행동에 뒤따르는 후속 자극에 effect을 받으므로 후속 자극을 체계적으로 잘 조절하면 그 행동이 future(미래)에 다시 발생할 확률을 증가시킬 수도 있고 감소시킬 수도 있다고 하였다.
[심리학] 조작적 조건형성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Ⅱ. Skinner의 상자test(실험)
Skinner의 상자란 일종의 조종장치로 상자 안에 흰 쥐를 넣어 놓고 먹이를 얻기 위해서는 지렛대를 누르도록 훈련시키는 장치로서, 지렛대를 누르면 기계가 작동하여 먹이가 자동적으로 떨어진다. 이와 같이 정확한 reaction 을 보상하여 어떤 행동의 반복을 증가시키는 것을 강화라고 한다.
다. 그후 쥐는 배가 고프면 지렛대를 밝는 행동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행동을 하다가 아무리 지렛대를 눌러도 먹이가 나오지 않으면 쥐가 지렛대를 누르는 횟수가 줄어들다가 나중에는 전혀 누르지 않게 되며, 오히려 지렛대에 전기충격 장치를 장착하면 쥐는 아무리 배가 고파도 지렛대를 밟지 않는다는 結論을 얻은 test(실험) 이 Skinner의 상자test(실험) 이다. , [심리학] 조작적 조건형성인문사회레포트 , 심리학 조작적 조건형성
조작적 조건형성
Ⅰ. 조작적 조건형성의 의의
Skinner는 Thorndike의 법칙을 확대?발전시켜 조작적 조건형성을 확립하였다. Thorndike의 도구적 조건형성 test(실험) 을 보면, 한 조각의 고기를 얻기 위해 고양이의 탈출행동이 결정 되었다. 쥐는 처음에는 새로운 環境에 適應하지 못해 이리 저리 돌아다니다가 우연히 지렛대를 누르면 먹이가 나오는 것을 발견한다. 강화에는 강화물, 즉 reaction 할 확률을 높여주는 자극이 무엇이냐에 따라 정적인 강화와 부적인 강화로 구분된다
정적인 강화는 특정한 행위 뒤에 그 행동의 발생빈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강화물이 제공되는 것이며, test(실험) 에…(To be continued )
설명
심리학,조작적,조건형성,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심리학] 조작적 조건형성
레포트/인문사회
![[심리학]%20조작적%20조건형성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B%AC%EB%A6%AC%ED%95%99%5D%20%EC%A1%B0%EC%9E%91%EC%A0%81%20%EC%A1%B0%EA%B1%B4%ED%98%95%EC%84%B1_hwp_01.gif)
![[심리학]%20조작적%20조건형성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B%AC%EB%A6%AC%ED%95%99%5D%20%EC%A1%B0%EC%9E%91%EC%A0%81%20%EC%A1%B0%EA%B1%B4%ED%98%95%EC%84%B1_hwp_02.gif)
Download : [심리학] 조작적 조건형성.hwp( 97 )
[심리학] 조작적 조건형성 - 먼저보기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