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계획서] 일 병원의 EMR 시스템 도입 후 간호진단의 활용도와 업무 만족도 分析(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1 03:47
본문
Download : [연구 계획서] 일 병원의 EMR 시.hwp
Ⅰ. 서론
[연구 계획서] 일 병원의 EMR 시스템 도입 후 간호진단의 활용도와 업무 만족도 분석에 관한 레포트입니다. 이러한 의무기록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단계로 S병원에서는 전자의무기록체계(EMR)를 2005년 11월에 도입하였다. 또한 전자간호기록은 의사결정 분석도구, 예후 위험사정, 기타 임상보조도구를 제공함으로써 임상적 문제해결과정을 도울 수 있어야 한다(simpson,1991).
![[연구 계획서] 일 병원의 EMR 시-5206_01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7%B0%EA%B5%AC%20%EA%B3%84%ED%9A%8D%EC%84%9C%5D%20%EC%9D%BC%20%EB%B3%91%EC%9B%90%EC%9D%98%20EMR%20%EC%8B%9C-5206_01_.jpg)
![[연구 계획서] 일 병원의 EMR 시-5206_02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7%B0%EA%B5%AC%20%EA%B3%84%ED%9A%8D%EC%84%9C%5D%20%EC%9D%BC%20%EB%B3%91%EC%9B%90%EC%9D%98%20EMR%20%EC%8B%9C-5206_02_.jpg)
![[연구 계획서] 일 병원의 EMR 시-5206_03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7%B0%EA%B5%AC%20%EA%B3%84%ED%9A%8D%EC%84%9C%5D%20%EC%9D%BC%20%EB%B3%91%EC%9B%90%EC%9D%98%20EMR%20%EC%8B%9C-5206_03_.jpg)
![[연구 계획서] 일 병원의 EMR 시-5206_04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7%B0%EA%B5%AC%20%EA%B3%84%ED%9A%8D%EC%84%9C%5D%20%EC%9D%BC%20%EB%B3%91%EC%9B%90%EC%9D%98%20EMR%20%EC%8B%9C-5206_04_.jpg)
![[연구 계획서] 일 병원의 EMR 시-5206_05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7%B0%EA%B5%AC%20%EA%B3%84%ED%9A%8D%EC%84%9C%5D%20%EC%9D%BC%20%EB%B3%91%EC%9B%90%EC%9D%98%20EMR%20%EC%8B%9C-5206_05_.jpg)
Ⅱ. 문헌고찰
간호기록을 전산화하면 기록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여 직접적인 환자간호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고, 기록 내용이 명확, 간결해질 뿐 아니라 개별적인 환자 정보의 양과 질, 이용가능성, 연속성 등이 증진된다. 또한 여러 곳에서 동시접근이 가능하고 읽기가 용이하며 data(資料)를 다양한 형태로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구조화된 data(資料)입력의 지원, 의사결정지원, data(資料)교환 및 서비스의 공유 등이 가능해진다(박현애와 조인숙, 2001).
2. 연구의 목적/ 문제
2. 간호진단
- 표 2. 간호문제 목록
6. 대상자 권리를 위한 배려
Ⅲ. 연구방법
- 간호사의 만족도 측정(measurement)도구
- 일병원의 간호진단 활용체계
3. 연구가설
다.
연구 계획서, 간호사의 업무만족도, EMR, EMR 시스템, 간호진단, 병원, 업무 만족도, 간호진단의 활용도, 업무 만족도 분석, 간호진단 활용
[연구 계획서] 일 병원의 EMR 시스템 도입 후 간호진단의 활용도와 업무 만족도 分析(분석)에 관한 보고서입니다.(Hale, Thomas, Bond & Todd,1997). 또한 다른 의료전문직 기록과의 연관성 부족으로 인하여 data(資料)를 공유하지 못할 뿐 아니라 간호일지의 경우 체계적이지 않아 신뢰성이 떨어지고 심지어는 동일한 검사결과나 기록내용이 반복된다.(van Bammel,1997).
- 간호진단의 활용도 측정(measurement)도구
4.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목차 및 프리뷰 참조해 주세요.
* 표 & 그림
3. 간호사의 업무만족도
1. 연구의 피료썽
2. 연구대상
4. 용어 定義(정의)
≪ … 중 략 … ≫
1. 연구설계
Ⅰ. 서론
- 그림 1. 分析(분석)모형
1. 연구의 必要性
1. 전자의무기록체계
설명
5. 연구의 제한점
3. 연구도구
순서
- 표 3. 변수설정
* 서지사항
- 표 1. 간호진단 목록
5. 자료分析(분석) 방법
Ⅱ. 문헌고찰
하지만 이러한 간호기록이 전산화되기 위해서 전자간호기록은 환자의 모든 임상문제와 상태를 定義(정이)하는 문title록을 포함해야 하며 간호활동, 중재 및 결과의 기본평가를 더욱 정확하게 하기 위해 환자의 건강상태와 기능을 체계적으로 측정(測定) 하고 기록할 수 있어야 한다.
환자 기록은 환자의 건강 혹은 질병의 과정이 정리(arrangement)되어 있어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data(資料)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환자기록은 간호사 혹은 의사에 의해 이루어지고 질병의 과정과 관련된 검사결과, 치료정보, 상태의 변화와 관련된 내용이 포함된다.(Hammond, 2000).
Download : [연구 계획서] 일 병원의 EMR 시.hwp( 66 )
[연구 계획서] 일 병원의 EMR 시스템 도입 후 간호진단의 활용도와 업무 만족도 分析(분석)
레포트 > 의학계열
최근 정보기술의 발달로 보건의료와 관련된 정보를 전산화하여 정보를 공유, 교환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손명세와 김염삼, 1999; 조형제, 1996). 보건의료분야에서 전산화의 궁극적인 목적은 환자의 진료정보를 필요시에 어느 곳에서나 사용할 수 있도록 전국적인 의무기록 정보시스템인 CPR(computer-based patient record)을 구축하는 것이다. 목차 및 미리보기 참조해 주세요.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문제 3. 연구가설 4. 용어 정의 5. 연구의 제한점 Ⅱ. 문헌고찰 1. 전자의무기록체계 - 일병원의 간호진단 활용체계 2. 간호진단 3. 간호사의 업무만족도 Ⅲ.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 간호진단의 활용도 측정도구 - 간호사의 만족도 측정도구 4.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5. 자료분석 방법 6. 대상자 권리를 위한 배려 * 참고문헌 * 표 & 그림 - 표 1. 간호진단 목록 - 표 2. 간호문제 목록 - 표 3. 변수설정 - 그림 1. 분석모형
1. 전자의무기록체계
전통적인 종이 현태의 간호기록은 분산성과 부정확성, 중복성, 기록상의 질과 빈도의 차이(Tapp,1990), 기록의 누락 등으로 환자 data(資料)와 진료 정보의 활용을 제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