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학기 민법총칙 기말시험 처리해야할문제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2-28 20:33본문
Download : 20201기말_법학1_민법총칙_공통.zip
기간이란 어느 시점으로부터 어느 시점까지의 계속된 시간의 구분을 말한다.
1. 소멸시효의 법적 성질과 기산점에 관한 쟁점
민법총칙,방통대민법총칙,방송대민법총칙,민법총칙과제물,민법총칙과제,민법총칙기말시험
I. 서 론
다. 기간의 계산방법은 법령, 재판상의 처분 또는 법률행위에서 정하여지나, 만약 정한 바가 없으면 민법 제156조 이하의 규정에 의한다.
소멸시효의 법적 성질과 기산점에 관한 쟁점을 정리한 다음 그 쟁점과 관련된 판례들을 1-2개씩 요약하고 그 판례법리의 문제점들을 비판적 관점에서 서술하시오. - 목 차 - I. 서 론 II. 본 론 1. 소멸시효의 법적 성질과 기산점에 관한 쟁점 1) 소멸시효의 법적 성질 2) 기산점에 관한 쟁점 2. 쟁점과 관련된 판례 요약 및 판례법리의 문제점 1) 소멸시효의 효과 판례 요약 및 문제점 2) 기산점 판례 요약 및 문제점 III. 결 론 참고문헌 <<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 1. 상대적 소멸설.hwp 2. 소멸시효 완성의 효과.hwp 3. 절대적 소멸설.hwp 4. 판례.hwp
- 목 차 -
1) 소멸시효의 법적 성질
4. 판례.hwp
설명
Download : 20201기말_법학1_민법총칙_공통.zip( 80 )
1. 소멸시효의 법적 성질과 기산점에 관한 쟁점
2020년 1학기 민법총칙 기말시험 처리해야할문제물
민법 제766조 제1항은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의 청구권은 피해자나 그 법정 대리인이 그 손해 및 가해자를 안 날로부터 3년간 이를 행사하지 아니하면 시효로 인하여 소멸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기간의 말일이 공휴일에 해당한 때에는 기간은 그 익일로 만료한다.
서지사항
1) 소멸시효의 법적 성질
소멸시효의 법적 성질과 기산점에 관한 쟁점을 정리한 다음 그 쟁점과 관련된 판례들을 1-2개씩 요약하고 그 판례법리의 problem(문제점)들을 비판적 관점에서 서술하시오.
2. 쟁점과 관련된 판례 요약 및 판례법리의 problem(문제점)

순서
3. 절대적 소멸설.hwp
2) 기산점에 관한 쟁점
I. 서 론
기간의 계산에 대해 기간을 주, 월 또는 년으로 정한 때에는 역에 의하여 계산하며, 주, 월 또는 년의 처음으로부터 기간을 기산하지 아니하는 때에는 최후의 주, 월 또는 년에서 그 기산일에 해당한 날의 전일로 기간이 만료한다. 기간의 기산점은 기간을 시, 분, 초로 정한 때에는 즉시로부터, 기간을 일, 주, 월 또는 년으로 정한 때에는 기간의 초일은 산입하지 아니하며(그러나 그 기간이 오전 영시로부터 처음 하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일시적인 시점인 기일 및 법률행위의 부관과는 상이하다. 시효는 ‘일정한 사실상태의 계속’을 요건으로 하므로 그 상태가 중단되면 시효도 중단되는 것이고, 중단된 상태가 다시 나타나면 그때부터 새로운 시효기간을 계산한다.
2) 기산점 판례 요약 및 problem(문제점)
2. 소멸시효 완성의 efficacy.hwp
이 보고서는 소멸시효의 법적 성질과 기산점에 관한 쟁점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기간의 만료점은 기간을 일, 주, 월 또는 년으로 정한 때에는 기간말일의 종료로 기간이 만료한다.
방송통신 > 기말시험
1) 소멸시효의 efficacy 판례 요약 및 problem(문제점)
II. 본 론
III. 결 론
1. 상대적 소멸설.hwp
II. 본 론
- 중략 -
<< 함께 제공되는 참고data(資料) 한글파일 >>
시효라 함은 일정한 사실상태가 일정한 기간 계속되었을 때 그 사실상태가 진실한 권리관계와 일치하느냐의 여부에 구애됨이 없이 그 사실 상태를 그대로 권리관계로 인정하려는 제도를 말한다. 시효에는 취득시효와 소멸시효의 두 가지가 있다. 취득시효란 타인의 물건을 일정기간 점유함으로써 그 물건에 대한 권리를 취득하는 시효이고, 소멸시효란 자기의 권리를 일정기간 행사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그 권리를 상실하게 되는 시효를 말하는데 소멸시효는 민법 총칙편에 규정되어 있으나 취득시효는 물권편에 규정되어 있다. 시효제도에는 취득시효제도와 소멸시효제도가 있는데, 전자는 일정한 사실관계의 결과로 권리취득이라는 법률결과 를 발생케 하는 것을 말하고, 후자는 일정한 사실관계의 결과로 권리소멸의 결과 가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월 또는 년으로 정한 경우에 최종의 월에 해당일이 없는 때에는 그 월의 말일로 기간이 만료한다.), 연령계산에는 출생일을 산입한다.
시효제도는 일반적으로 일정한 사실상태가 상당히 오랫동안 계속된 경우에 그 사실상태가 진실한 실체관계와 합치하는가의 여부를 묻지 않고 사실상태 그대로 권리관계를 확정하는 제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