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화학실험] 탄산염의 analysis(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3-25 09:17
본문
Download : [일반화학실험] 탄산염의 분석.hwp
[일반화학실험] 탄산염의 분석 , [일반화학실험] 탄산염의 분석화학실험결과 , [일반화학실험] 탄산염의 분석
[일반화학실험] 탄산염의 analysis(분석)
설명
[일반화학실험] 탄산염의 analysis(분석)
Download : [일반화학실험] 탄산염의 분석.hwp( 22 )
[일반화학실험],탄산염의,분석,화학,실험결과
실험결과/화학
순서
![[일반화학실험]%20탄산염의%20분석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C%EB%B0%98%ED%99%94%ED%95%99%EC%8B%A4%ED%97%98%5D%20%ED%83%84%EC%82%B0%EC%97%BC%EC%9D%98%20%EB%B6%84%EC%84%9D_hwp_01.gif)
![[일반화학실험]%20탄산염의%20분석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C%EB%B0%98%ED%99%94%ED%95%99%EC%8B%A4%ED%97%98%5D%20%ED%83%84%EC%82%B0%EC%97%BC%EC%9D%98%20%EB%B6%84%EC%84%9D_hwp_02.gif)
![[일반화학실험]%20탄산염의%20분석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C%EB%B0%98%ED%99%94%ED%95%99%EC%8B%A4%ED%97%98%5D%20%ED%83%84%EC%82%B0%EC%97%BC%EC%9D%98%20%EB%B6%84%EC%84%9D_hwp_03.gif)
![[일반화학실험]%20탄산염의%20분석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C%EB%B0%98%ED%99%94%ED%95%99%EC%8B%A4%ED%97%98%5D%20%ED%83%84%EC%82%B0%EC%97%BC%EC%9D%98%20%EB%B6%84%EC%84%9D_hwp_04.gif)
![[일반화학실험]%20탄산염의%20분석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C%EB%B0%98%ED%99%94%ED%95%99%EC%8B%A4%ED%97%98%5D%20%ED%83%84%EC%82%B0%EC%97%BC%EC%9D%98%20%EB%B6%84%EC%84%9D_hwp_05.gif)
實驗(실험)title proper(제목)
탄산염의 분석
實驗(실험)목적
탄산염이 염산과 reaction(반응)하여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측정(測定) 해서 탄산염의 종류를 알아낸다. 다만, 알칼리금속의 염에서는 분해하지 않고 융해한다.
實驗(실험)도구
- 스탠드, 클램프, 뷰렛, 수위조절용기(분별깔때기), 100mL 삼각플라스크 2개, 파라필름, 10mL 메스실린더, 폴리글루브, 5mL Vial 2개
탄산염(Li2CO3, Na2CO3, K2CO3), 이산화탄소로 포화된 물 (한 조당200mL 가량), 6M HCl용액 (한 조당 20mL 2회)
實驗(실험)원리
實驗(실험)원리
1. 탄산염 (炭酸鹽, carbonate)
: - 탄산 H2CO3의 수소가 금속으로 치환된 염으로, 이산화탄소 CO2와 금속산화물 또는 수산화물로 구성되는 염. 정염 (正鹽 : 탄산염) M2ICO3, 산성염 (탄산수소염) MIHCO3, 염기성염 M2ICO3 . nMIOH의 3종이 있따 (MI는 1가의 금속). 일반적으로 금속산화물이나 수산화물 고체 또는 수용액에 이산화탄소를 흡수시키면 생긴다. 탄산이온 CO32-를 함유하는 이온 결정이며, 알칼리 금속의 염에서는 리튬 염 이외는 정염 . 탄산수소염 모두 물에 잘 녹는다. 물에 녹은 알칼리 금속의 정염은 가수분해하여 강한 알칼리성을 보인다.
實驗(실험)도구
- 스탠드, 클램프, 뷰렛, 수위조절용기(분별깔때기), 100mL 삼각플라스크 2개, 파라필름, 10mL 메스실린더, 폴리글루브, 5mL Vial 2개
탄산염(Li2CO3, Na2CO3, K2CO3), 이산화탄소로 포화된 물 (한 조당200mL 가량), 6M HCl용액 (한 조당 20mL 2회)
實驗(실험)원리
實驗(실험)원리
1. 탄산염 (炭酸鹽, carbonate)
: - 탄산 H2CO3의 수소가 금속으로 치환된 염으로, 이산화탄소 CO2와 금속산화물 또는 수산화물로 구성되는 염. 정염 (正鹽 : 탄산염) M2ICO3, 산성염 (탄산수소염) MIHCO3, 염기성염 M2ICO3 . nMIOH의 3종이 있따 (MI는 1가의 금속). 일반적으로 금속산화물이나 수산화물 고체 또는 수용액에 이산화탄소를 흡수시키면 생긴다. 탄산이온은 탄소원자를 중심으로 하여 산소원자가 구석을 차지하는 평면 정삼각형의 구조를 하고 있따
2.…(생략(省略))
다. 착색의 Cause 이 되는 양이온을 함유하지 않으면 무색이다. 정염이나 탄산수소염의 고체 또는 수용액에 산을 가하면 분해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하고, 그 산의 염을 생성한다. 이 밖의 금속염에서는 탄산수소염 . 염기성염은 물에 잘 녹지만, 정염은 거의 녹지 않는다.
Na2CO3 + H2O -] NaOH + NaHCO3
고체를 가열하면 분해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하고, 정염은 산화물로, 탄산수소염은 정염이 된다된다. 착색의 Cause 이 되...
實驗(실험)title proper(제목)
탄산염의 분석
實驗(실험)목적
탄산염이 염산과 reaction(반응)하여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측정(測定) 해서 탄산염의 종류를 알아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