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체적 조작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03 08:05
본문
Download : 구체적 조작기.hwp
I. 보존(conservation)
구체적 조작기의 아동들은 눈에 보이는 지각적 property(특성)에 의해서가 아니라 논리적 조작에 근거하여 보존문제를 쉽게 풀 수 있다아 예를 들어, 모양이 變化했더라도 變化하기 이전과 같은 대상이기 때문에 질량이 變化하지 않는다거나(동일성), 머릿속에서 거꾸로 조작할 수 있어 양의 變化가 없다는 것(가역성)을 발견할 수 있거나, 어떤 물체가 형태 변형으로 높이가 줄어들면 넓어진 면적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는 것(보상)을 인식하게 된다
예를 들어 같은 크기와 모양의 컵 두 개에다 같은 양의 물을 녈어서 유아들에게 그 양이 같다는 것을 확인시킨 후, 유아가 보고 있는 데서 한쪽 컵의 물을 형태가 다른 컵으로 옮겨 담아 물의 높이가 다르게 만든다. 그리고 어느 쪽 컵의 물이 더 많은지 물어보면 4-5세 된 어린이는 물의 높이가 높은 것이 많다고 하거나, 옆으로 넓어 보이는 컵의 물이 많다고 대답한다. 이는 물의 양에 대한 보존개념(槪念)이 없다는 것을 말해 준다.구체적 조작기 , 구체적 조작기기타레포트 , 구체적 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레포트/기타
구체적 조작기
구체적,조작기,기타,레포트
구체적 조작기
목차
구체적 조작기
I. 보존
II. 분류화
III. 서열화
IV. 탈중심화
V. 인과관계
VI. 공간개념(槪念)
VII. 수평개념(槪念)
VIII. 수직개념(槪念)
Reference List
구체적 조작기
7-11세경까지의 시기를 `구체적 조작기`라 하며, 이 시기에는 전조작기에서보다 더 성숙한 인지구조가 형성된다 그러나 이 단계의 논리적 사고는 다음 단계인 형식적 조작기에서만큼 추상적이거나 복잡한 수준에 도달하지는 못한다. 구체적 조작단계의 인지구조는 觀察(관찰) 될 수 있는 구체적 사물을 다루는 데는 논리적이나, 가설적이고 추상적인 또는 언어적인 문제를 다루는 데는 아직 미숙하다.
이것은 유아들이 전조작기의 사고수준에서는 그때그때의 정지된 상태에 주의를 집중하여 바뀌는 상태를 고려한 전체로서 이해하지 못하고, 한 상태와 다른 상태를 서로 變化시켜 보지 못하기 때문일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어떤 變化가 일어나면 이것을 먼저 상태로 되돌려볼 수 …(drop)
설명





Download : 구체적 조작기.hwp( 86 )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