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조건의 명시의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25 20:48
본문
Download : 근로조건의 명시의무 (2) .hwp
근로조건의 명시의무
2020년
의의와 취지
근로기준법 제17조는 사용자에게 근로계약 체결 변경시에 임금, 소정근로시간 등의 근로조건을 명시할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이는 근로자가 취업 또는 직장유지에 급급해 자신의 근로조건을 명확히 알지 못한 채 근로를 제공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근로계약 체결변경 시 명시해야 할 근로조건
사용자는 ① 임금(구성항목, 계산방법, 지급방법), ② 소정근로시간, ③ 유급주휴일, ④ 연 차유급휴가, ⑤ 기타 근로조건(취업의 장소, 종사해야 할 업무, 취업규칙에 정한 …(skip)
Download : 근로조건의 명시의무 (2) .hwp( 29 )
%20_hwp_01.gif)
%20_hwp_02.gif)
%20_hwp_03.gif)
레포트/기타
근로조건의 명시의무 , 근로조건의 명시의무 기타레포트 , 근로조건 명시의무
근로조건의 명시의무
근로조건의 명시의무
순서
설명
근로조건,명시의무,기타,레포트
다.
근로계약 체결변경 시 명시해야 할 근로조건
사용자는 ① 임금(구성항목, 계산방법, 지급방법), ② 소정근로시간, ③ 유급주휴일, ④ 연 차유급휴가, ⑤ 기타 근로조건(취업의 장소, 종사해야 할 업무, 취업규칙에 정한 사항, 기 숙사가 있을 경우 기숙사 규칙)에 마주향하여 는 근로계약 체결변경 시 근로자에게 이를 명시 해야 한다(근로기준법 제17조).
근로조건이 명시된 서면 교부의무
대상
사용자는 ① 임금
근로조건의 명시의무
2020년
의의와 취지
근로기준법 제17조는 사용자에게 근로계약 체결 변경시에 임금, 소정근로시간 등의 근로조건을 명시할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이는 근로자가 취업 또는 직장유지에 급급해 자신의 근로조건을 명확히 알지 못한 채 근로를 제공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