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상문(report)] 쎄느강은좌우를나누고한강은남북을가른다 / 쎄느강은 좌우를 나누고 한강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14 15:48
본문
Download : 쎄느강은좌우를나누고한강은남북을가른다.hwp
그래서였을 것이다. 한국사회에 통용되는 사회비판과 대외인식의 問題點은 자학은 있되 자기비판은 없었던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언론에서 글쓴이들의 매저키즘은 객관적인 사회비판인 것처럼 행세해 사람들을 기죽여왔다. 심지어 얼마 전에는 국과 찌개는 환경오염이 심하니 외국 어디처럼 국물요리 대신 음료로 대체하자는 위대한 비판도 있었다. . 즉, 한국사회의 단점들이 자기를 비판할 줄 몰라서 초래된 것은 아닐것이다. . 지식인에서부터 외국에 좀 살다 왔다는 다양한 개성의 사람들까지 신문의 조그만 박스기사에까지 우리는 외국과 우리를 비교하여 우리를 비판하는 것에 길들여져 있었다.hwp( 17 )
확실히 한국은 자아비판이 부족한 사회는 아닐것이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설명
쎄느강은 좌우를 나누고 한강은 남북을 가른다 를 읽고
쎄느강은 좌우를 나누고 한강은 남북을 가른다 를 읽고 이 책의 제... (참고 : 1page는 표지 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좌우`, `남북`은 이데올로기를 뜻하고 또한 보수와 진보를 말한다고 보아도 될까. 쎄느강이 좌우를 나누고 한강이 남북을 나눈다는 단순한 의미가 아니라 프랑스와 한국 사회의 보수와 진보 이념 대립을 의미하는 것 같다. 매저키즘은 이유를 가리지 않는다. 그것을 강물에 비유한 것은 쎄느강과 한강의 흐름의 방향이 곧 그 나라의 역사(歷史)이고 현실이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자기가 조금 알고 있다는 것을 자랑하기 위해, 혹은 외국에 살면서 외국인을 목격했다는 자랑과 투정 이상은 아니었던 것이다. `아니, 괜찮은 사람인 줄 알았는데...





감상문 쎄느강은좌우를나누고한강은남북을가른다 / 쎄느강은 좌우를 나누고 한강은
[ 감상문(report)] 쎄느강은좌우를나누고한강은남북을가른다 / 쎄느강은 좌우를 나누고 한강은
그런데 이것이 얼마나 생산적이었는가 그리고 얼마나 정당했는가 단언하건데, 이것들은 대부분 쓰레기였다.)
이 책의 タイトル을 봤을 때는 무슨 말을 하고 싶은 것인지 잘 이해하질 못했다. 어떻게 보면, 홍세화는 한국이 아닌 다른 나라에서 이방인으로서 바라보고 있기 때문에 그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