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과 생각 공통 1학년]『글과 생각』 제1장의 ‘더 읽을거리’에 紹介(소개)된 장유의 <용졸당기(用拙堂記)>를 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10-04 16:56
본문
Download : [글과 생각]『글과 생각』 제1장의.hwp
④ 참고 논저를 과제물 마지막에 참고한 논문이나 저서를 구체적으로 밝혔습니다. ② 각 단락별로 핵심적 의미가 무엇인지 완결된 문장으로 정리했습니다. 2. 자신이 마련한 집이 누추하지만 아름다운 경치 때문에 이곳에서 생을 마감하려고 한다.(각주 형식으로 說明(설명) 도 했습니다.
10-1> 표현상의 특징 등 각자가 느낀 이 글의 특징과 advantage, 개인적인 소감 등에 관한 자신의 견해
1. 호남(湖南)의 관찰사(觀察使)인 민후(閔侯)가 장유(張維)에게 서신을 보냄
순서
5-1> 표현상의 특징 등 각자가 느낀 이 글의 특징과 advantage, 개인적인 소감 등에 관한 자신의 견해
* 한국한문학회의 2009년 하계학술 발표집
[참고 자료(資料)]
산림이 이곳에 울창하게 우거진 데다가 넓은 들판도 있어 볼 만한 경치를 제공해 주고 있는데, 바로 이 집이 민 관찰 사상 씨의 별장(別莊)이다.
8. 그의 총명하고 용맹하면서도 부드러운 일처리는 칭찬 할만하다.
[글과 생각 공통 1학년]『글과 생각』 제1장의 ‘더 읽을거리’에 紹介(소개)된 장유의 <용졸당기(用拙堂記)>를 읽고나서 , 강의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analysis(분석) 해 보시오
설명
② 각 단락별로 核心(핵심)적 의미가 무엇인지 완결된 문장으로 정리했습니다.
용졸당기,장유,장유의용졸당기,用拙堂記,장유의용졸당기분석,용졸당기분석,주역,주역서,글과생각
1. 호남(湖南)의 관찰사(觀察使)인 민후(閔侯)가 장유(張維)에게 서신을 보냄
Ⅰ. 서 론
3. 용졸(用拙)이라는 글자를 가지고서 자신의 집의 이름으로 삼으려고 장유에게 자문한다.
서남쪽으로 백마강(白馬江)이 흐르다가 가림군(加林郡)의 남쪽 지점에 이르러 남당강(南塘江)이 되는데, 이 강의 연안에 당우(堂宇)가 한 채 자리를 잡고 있다
장유(張維)의 용졸당기(用拙堂記)는 호남(湖南)의 관찰사(觀察使)인 민성휘(閔聖徽, 민후)가 문의형식으로 보낸 온 서신에 관해서 장유가 다름 사람과 논쟁을 하는 글이다.
9-1> 표현상의 특징 등 각자가 느낀 이 글의 특징과 advantage, 개인적인 소감 등에 관한 자신의 견해
④ 참고 논저를 Task 물 마지막에 참고한 논문이나 저서를 구체적으로 밝혔습니다.
양명학(陽明學)에 일찍이 접한 장유(張維)는 당시에 주자학(朱子學)의 편협한 학문풍토에 관하여, 학문이 실심(實心)이 없이 그 명분에만 빠지게 되면 단지 허학(虛學)이 되고 만다고 비판을 하였다.
7. 아름다운 그의 성품으로 볼 때, 겸손한 졸(拙)은 적합하다.
白馬之江(백마지강).西南流至加林郡之南爲南塘江(서남류지가림군지남위남당강).有瀕江而堂(유빈강이당).兼林麓原野之勝者(겸림록원야지승자).閔觀察士尙甫之別業也(민관찰사상보지별업야)
① 내용 구성상 몇 개의 단락으로 나누어지는지 단락을 나누었습니다.
이에 이식(李植)은 그의 학설이 주자(朱子)와는 반대된 것이 많다고 주장하여 육왕학파(陸王學派)로 지적을 하였으나. 송시열(宋時烈)은 “그는 문장이 뛰어나고 의리가 주로 정자(程子)와 주자를 하였으므로 그와 더불어서 비교할만한 사람이 없다. ③ 표현상의 특징 등 각자가 느낀 이 글의 특징과 장점, 개인적인 소감 등에 관하여 자신의 견해를 적극적으로 제시했습니다.” 고 하였다.(각주 형식으로 설명도 했습니다.
≪ … 중 략 … ≫
① 내용 구성상 몇 개의 단락으로 나누어지는지 단락을 나누었습니다.
10. 형제간에 화목함을 도모하려 졸(拙)을 쓰려고 하는데 이 또한 아름다운 것이나, 경치를 안 보아서 아직은 무어라 대답 할 수가 없다.
8-1> 표현상의 특징 등 각자가 느낀 이 글의 특징과 advantage, 개인적인 소감 등에 관한 자신의 견해
* 장유(張維)의 용졸당기(用拙堂記)
3-1> 표현상의 특징 등 각자가 느낀 이 글의 특징과 advantage, 개인적인 소감 등에 관한 자신의 견해
Ⅱ. 『글과 생각』 제1장의 ‘더 읽을거리’에 소개된 장유의 <용졸당기(用拙堂記)>를 읽은후, 강의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分析(분석)
Download : [글과 생각]『글과 생각』 제1장의.hwp( 98 )
![[글과 생각]『글과 생각』 제1장의-7046_01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403/%5B%EA%B8%80%EA%B3%BC%20%EC%83%9D%EA%B0%81%5D%E3%80%8E%EA%B8%80%EA%B3%BC%20%EC%83%9D%EA%B0%81%E3%80%8F%20%EC%A0%9C1%EC%9E%A5%EC%9D%98-7046_01_.jpg)
![[글과 생각]『글과 생각』 제1장의-7046_02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403/%5B%EA%B8%80%EA%B3%BC%20%EC%83%9D%EA%B0%81%5D%E3%80%8E%EA%B8%80%EA%B3%BC%20%EC%83%9D%EA%B0%81%E3%80%8F%20%EC%A0%9C1%EC%9E%A5%EC%9D%98-7046_02_.jpg)
![[글과 생각]『글과 생각』 제1장의-7046_03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403/%5B%EA%B8%80%EA%B3%BC%20%EC%83%9D%EA%B0%81%5D%E3%80%8E%EA%B8%80%EA%B3%BC%20%EC%83%9D%EA%B0%81%E3%80%8F%20%EC%A0%9C1%EC%9E%A5%EC%9D%98-7046_03_.jpg)
![[글과 생각]『글과 생각』 제1장의-7046_04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403/%5B%EA%B8%80%EA%B3%BC%20%EC%83%9D%EA%B0%81%5D%E3%80%8E%EA%B8%80%EA%B3%BC%20%EC%83%9D%EA%B0%81%E3%80%8F%20%EC%A0%9C1%EC%9E%A5%EC%9D%98-7046_04_.jpg)
![[글과 생각]『글과 생각』 제1장의-7046_05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403/%5B%EA%B8%80%EA%B3%BC%20%EC%83%9D%EA%B0%81%5D%E3%80%8E%EA%B8%80%EA%B3%BC%20%EC%83%9D%EA%B0%81%E3%80%8F%20%EC%A0%9C1%EC%9E%A5%EC%9D%98-7046_05_.jpg)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4-1> 표현상의 특징 등 각자가 느낀 이 글의 특징과 advantage, 개인적인 소감 등에 관한 자신의 견해
Ⅲ. 결 론
5. ‘졸(拙)’자를 반대하는 opinion에 대해 장유는 ‘졸(拙)’의 반대는 ‘교’(巧)인데, 이는 겸손한 민사상(민후)에게 어울리지 않는다고 말한다.)
6-1> 표현상의 특징 등 각자가 느낀 이 글의 특징과 advantage, 개인적인 소감 등에 관한 자신의 견해
* 계곡선생집 8권
1-1> 표현상의 특징 등 각자가 느낀 이 글의 특징과 advantage, 개인적인 소감 등에 관한 자신의 견해
그는 의술, 천문, 지리, 병서 등의 각종 학문에 능통하였으며, 서화와 특히, 문장에 부분에서 뛰어나 신흠(申欽), 이정구(李廷龜), 이식 등과 더불어서 조선 문학의 사대가(四大家)라는 칭호를 받고 있다
본래 많은 저서가 있었다고 하나 대부분 소실되어지고 현재응 ‘음부경주해(陰符經注解)’, ‘계곡만필’, ‘계곡집’이 전한다.
Ⅰ. 서 론
다.) [참고 자료] * 장유(張維)의 용졸당기(用拙堂記) * 한국한문학회의 2009년 하계학술 발표집 * 계곡선생집 8권
7-1> 표현상의 특징 등 각자가 느낀 이 글의 특징과 advantage, 개인적인 소감 등에 관한 자신의 견해
2-1> 표현상의 특징 등 각자가 느낀 이 글의 특징과 advantage, 개인적인 소감 등에 관한 자신의 견해
9. 교(巧)하면서도 쓰지 않는 점이 있어야만 천하의 대교(大巧)라는 차원에 진입할 수가 있다
[참고 reference(자료)]
6. 민사상(민후)은 교자(巧者)가 아니다
4. 하지만 이러한 둘 사이에 어떤 이가 명석한 사람에게 ‘졸’(拙)이라는 글자는 걸맞지 않는다고 문제 제기를 한다.
또한 지행합일(知行合一)을 주장하여 마음을 바로 알며, 행동을 통해서 진실을 인식하려고 했던 양명학적인 사고방식을 지니고 있었다.
③ 표현상의 특징 등 각자가 느낀 이 글의 특징과 장점(長點), 개인적인 소감 등에 관하여 자신의 견해를 적극적으로 제시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