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망언의 계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22 21:30
본문
Download : 일본 망언의 계보.hwp
앞서도 말한 것처럼 만일 합방이 없었더라면 청국이나 러시아가 혹은 나중의 소비에트가 조선반도에 전혀 손을 대지 않았을 것이라고 할 보증이 있는지 어떤지. 그러한 것까지 모두 생각한 다음에 日本 이 조선반도로 나갔던 것은 침략 이외의 아무 것도 아닐것이다. 이것을 그냥 놔두었으면 조선반도는 러시아의 속령이 되어 있었을지도 모릅니다. 그 뿌리를 자르려고 하는데 러일전쟁이 일어난 것이지요.
지금 한국에 대한 침략이라고 한창 거론되고 있는 한일의 합방에서도, 적어도 그만한 역싸적 배경이 있었을 겁니다. 그 청국의 조선에 대한 effect(영향) (influence)이라는 것은 왠일인지 언급되지 않습니다. 형식적으로도 사실상으로도 양국의 합의 위에서 성립하고 있는 것입니다. , 日本 이 나쁘다는 식의 논의라면 그런대로 짐작은 갑니다만...
(`방언대신(放言大臣) 크게 외친다` <<문예춘추>> 1986년 10
월호)
…(drop)
(12) 1986년 10월 후지오 망언 (제2차)
레포트/경영경제






(12) 1986년 10월 후지오 망언 (제2차) 가령 침략이 있었다고 해도 침략을 받은 측에도 여러가지로 생각해야 할 문제가 있... , 일본 망언의 계보경영경제레포트 ,
다. 그러나 적어도 이토 히로부미의 교섭 상대가 조선의 대표자 고종이었던 것만은 사실이므로 한국측에도 얼마간 책임이나 생각해야 할 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고종이 진정한 대표였는지 아닌지에 마주향하여 는 의문이 있고, 합의를 인정토록 하기 위한 日本 측의 압력이 있었을지도 모릅니다.
,경영경제,레포트
Download : 일본 망언의 계보.hwp( 13 )
설명
순서
가령 침략이 있었다고 해도 침략을 받은 측에도 여러가지로 생각해야 할 문제가 있...
일본 망언의 계보
(12) 1986년 10월 후지오 망언 (제2차)
가령 침략이 있었다고 해도 침략을 받은 측에도 여러가지로 생각해야 할 문제가 있다고 나는 생각합니다.
그래서 청국이 日本 에 패해, 그 대신 日本 이 진출하려고 했는데 삼국간섭이 있었지요. 日本 은 굴복을 강요당했고, 그 뒤에 어슬렁 어슬렁 나온 것이 러시아입니다. 예를 들면 일청전쟁이라는 것을 생각해 보면, 당시 조선반도는 도대체 어떠한 정세에 있었는가. 다름아닌 청국의 속령입니다. 한일의 합방이라는 것은 당시 日本 을 대표하고 있던 이토 히로부미와 한국을 대표하고 있던 고종간의 담판과 합의 위에서 성립하고 있는 것입니다. 日本 의 입장에서 보면 (미운 놈의) 배때기가 나타난 것이니까, 어떻게 하든 이것을 저지하지 않으면 안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