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교육학 신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2-23 08:23
본문
Download : 수학교육학신론(2016개정증보판)1부~3부.pdf
수학교육과정론
라. 수학교재론
마. 수학 교수, 학습론
바. 수학교육평가
사. 수학 문제해결
아. 수학교육工學
제2장. 수학교육의 당위성 및 목적
제1절. 수학교육의 당위성
제2절. 수학교육의 목적
1. 정신도야성
2. 실용성
3. 文化적 가치 및 심미성
제3장. 수학교육의 발달
제1절. 수학교육 근대화 운동
1. 페리의 수학교육 근대화 운동
2. 클라인의 수학교육 근대화 운동
3. 무어의 수학교육 근대화 운동
제2절. 수학교육 현대화 운동
1. 수학교육 현대화 운동의 요인
2. 수학교육 현대화 운동의 방향
3. 수학교육 현대화 운동의 비판
가. 수학교육 현대화 운동의 비판
나. 수학교육 현대화 운동의 반성: ‘기본으로 돌아가기
제3절. 1980년대 이후의 수학교육1ㅜ
제1부 수학교육의 이해
제1장 수학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제1절. 수학교육학의 성립
1. 심리학과 수학교육학
심리학과 수학교육학
* 기여: 심리학의 연구방법을 수학교육학에 가져다 쓸 수 있음
* 부정적인 면: 과학적인 연구방법을 너무 많이 강조
2. 수학과 수학교육학
수학과 수학교육학
* 기여: 학문적수학과 학교 수학간의 연계, 수학적 지식의 구조를 보여줌, 수학적 사고를 구체적으로 보여줌
* 부정적인 면: 하향식 (지식의 구조를 확인 → 학생에 맞게 번역)
1. 정신도야성
정신도야성
: 수학은 ‘논리적으로 추론하는 정신적 능력을 배양’ 하는 정신력을 도야시키는 소재가 됨
1) 엄밀성: 사고의 정확성 → 일반사고에도 수학적 엄밀성 적용
2) 간결성: 최소한의 언어로 최대한의 의미를 표현하려는 수단
3) 논리성: 논리 정연한 추론과정
4) 일반성: 주어진 특정 상황에 대한 analysis을 거쳐 그 결과를 추상화시켜 유사한 다른 상황에 적용
2. 실용성
3. 文化적 가치 및 심미성
제3장. 수학교육의 발달
제1절. 수학교육 근대화 운동
수학교육 근대화 운동의 배경
- 19세기말~20세기 초, 고전적인 교양교육에서 생활 준비로서의 교육으로의 전환이 시도
: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수학교육의 당위성을 인식하고, 수학교육을 improvement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났는데, 이를 수학교육 근대화 운동이라 한다.
Download : 수학교육학신론(2016개정증보판)1부~3부.pdf( 49 )
수학,교육학,신론,사범교육,레포트
1%EB%B6%80~3%EB%B6%80_pdf_01.gif)
1%EB%B6%80~3%EB%B6%80_pdf_02.gif)
1%EB%B6%80~3%EB%B6%80_pdf_03.gif)
1%EB%B6%80~3%EB%B6%80_pdf_04.gif)
1%EB%B6%80~3%EB%B6%80_pdf_05.gif)
1%EB%B6%80~3%EB%B6%80_pdf_06.gif)
문음사 수학교육학신론(2016개정증보판)1요약 제1권
순서
레포트/사범교육
수학 교육학 신론
1부~3부까지
문음사 수학교육학신론(2016개정증보판)1요약 제1권 1부~3부까지 , 수학 교육학 신론사범교육레포트 , 수학 교육학 신론
1부. 수학교육의 이해
제1장 수학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제1절. 수학교육학의 성립
1. 심리학과 수학교육학
2. 수학과 수학교육학
제2절. 수학교육학의 관념 및 구조 탐색
1. 수학교육학의 관념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
2. 수학교육학의 관념적 구조 탐색을 위한 모형
가. 수학기초론
나. 수학사
다.
- 유클리드 기하에서 탈피하여 實驗 기하를 강조한다.
1. 영국의 페리의 수학교육 근대화 운동
: 19세기 말 산업혁명으로 새롭게 탄생된 노동자 계급에 대한 실용적인 교육이 필요
- 소수의 특권층을 대상으로 한 유클리드 원론에 의한 두뇌 도야 위주의 수학교육에서 벗어나, 일상의 생활을 위한 일반인을 위한 수학교육이 수행되어야 한다는 주장 제기
- 발명 정신과 창조 능력 강조
- 수학의 실용성과 유용성, 특히 자연과학과 연결되는 측면을 강조한다.
- 모눈종이를 활용하고, 입체 기하의 내용을 …(drop)
설명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