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歷史(역사), 한국사, 조선] 광해군과 조선중기 정세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18 18:44
본문
Download : 광해군과 조선중기정세 연구-광해군을 중심으로.hwp
1592년 6월 14일을 기점으로 광해군은 분조를 이끌고, 함경도와 평안도, 황해도, 강원도를 비롯한 북부지역 각지를 옮겨다니며 의병 모집과 사기 진작, 군량과 말먹이를 수집하는 한편, 민심을 수습하는 전쟁수행활동을 펼친다. 임진왜란 중 선조의 행적은 분명히 왕으로써 합당한 처신이라고 볼 수는 없었다. 1592년 5월 20일 선조는 광해군을 왕세자로 책봉한다는 교서를 발표하고, 광해군에게 친히 쓴 편지에서 분조(分朝)를 이끌 것을 명한다.
설명
조선, 광해군, 임진왜란, 선조, 조선중기, 북인
순서
[歷史(역사), 한국사, 조선] 광해군과 조선중기 정세 연구
Download : 광해군과 조선중기정세 연구-광해군을 중심으로.hwp( 81 )
레포트를 쓰시는데 좋은 참고자료(資料)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불과 1년 전에 정철이 건저문제를 꺼냈다가 파면된것과는 대조적인 상황이었다.
위의 기록에서 알 수 있듯이 광해군의 세자 책봉은 심도 있는 논의 끝에 이루진 것이 아니라 절박한 상황에서 몇시간 만에 순식간에 이루어진 것이었다.
조선중기 정치세력, 대외관계, 임진왜란 전후의 정세에 관한 주제의
다. 의주에 눌러앉아 전란의 지휘를 광해군에게 떠넘긴 그가 왕으로써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궁색한 수단이 ‘양위엄포’였다. 조선중기 정치세력, 대외관계, 임진왜란 전후의 정세에 관한 주제의 레포트를 쓰시는데 좋은 참고자료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선조가 광해군을 세자로 염두에 두고 있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조선조정이 안위가 심각한 위협을 받는 현실에서 신속한 결정을 내려야 하는 상황에 내몰렸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왕자시절의 광해군이 보여준 총명한 모습이 세자책봉에 어느정도 작용했을 수는 있지만, 왜란이 아닌 평화시였다면, 이 같은 파격적인 세자책봉은 아마도 이루어지지 못했을 것이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서울대학교 2007년 1학기, 한국사수업 최종레포트 자료(資料)입니다. 군사 戰略적인 측면에서 연안성의 수성은 일본의 일부가 고립됨으로써 일본군의 연계작전 수행이 불가능해졌으며, 보급로가 차단됨으로써 장기적인 전투력을 저하시켰다고 볼 수 있다 광해군의 적극적인 분조활동은 조선조정이 전쟁을 수행하고 있음을 사람들에게 알리는 역할로 시작해서 전쟁이 진행될 수록 민심을 수습하고, 전쟁을 지휘하는 구심점이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반면에 그의 뛰어난 분조 수행 능력은 선조로하여금 광해군을 견제하는 빌미를 제공하게 된다. 광해군이 이끄는 분조를 함경도로 보내면서, 선조 자신은 의주에 머물면서 상황이 나빠지면, 명에 귀순할 의도가 분명했지만, 이는 광해군에게 있어서는 그의 정치적 역량을 증명하는 계기가 된다. 특히 이정암으로 하여금 황해도의 연안성을 수성하도록 함으로써 평안성에 주둔하던 고니시유키나가군을 고립시킬 수 있었다.
서울대학교 2007년 1학기, 한국사수업 최종레포트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