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와 대북인권정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03 12:28
본문
Download :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와 대북인권정책.pptx
또한 복잡계층은 계급적 적대자들과 민족적 적대자들로 구성되며 소위 불순분자, 반동분자로 낙인찍힌 자들로 사회에서 소외되고 인권을 유린당하는 계층으로 전 인구의 약 27%를 차지한다.
설명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와 대북인권정책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와 대북인권정책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와 대북인권정책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와 대북인권정책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와 대북인권정책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와 대북인권정책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와 대북인권정책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와 대북인권정책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와 대북인권정책
Download :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와 대북인권정책.pptx( 23 )
.
레포트 > 기타
.
.
순서
북한당국은 해방 이후 여러 次例의 성분(成分)조사 사업을 실시하여 주민들을 출신성분(成分)과 사회성분(成分)별로 엄격하게 구별하고 있다. 황재옥, “북한의 인권상황과 한국의 대북인권외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북한연구협동과정, (1999), p. 60.
다. 기본계층은 북한체제의 核心 군중에 속하지 않고 당원이 아닌 일반노동자, 기술자, 농민, 사무원, 교원 및 그 가족 등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전체 인구의 약 45%를 차지한다. 이들 계급에 대해선 감시체제를 강화할 뿐만 아니라 의식주 배급, 사회적 이동 허가 및 법 적용 등 모든 영역에서 차별대우를 해오고 있다. 그 내용을 더욱 자세히 살펴보면 이렇다. 이들은 극도로 제한된 수입과 배급식량으로 생활을 꾸려가고 있다. 전 주민을 크게 核心계층, 기본계층, 복잡계층 등 3계층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核心계층은 북한체제를 이끌어 가는 통치계급으로 전 주민의 약 28%를 차지한다. 기본계층의 주민들에게 출신성분(成分)에 따라 차별대우하는 성분(成分)정책은 사회적 진출을 억제하는 불리한 정책일 수도 일수도 있지만, 이 정책으로 직접적인 피해를 입는 부류는 복잡계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