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현십원가의 문학성 및 지도 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26 06:06
본문
Download : 보현십원가의 문학성 및 지도 방안.hwp
정렬모, 「새로 읽은 향가」, 『한글』, 1947.
보현십원가의 문학성 및 지도 방안 보현십원가의 문학성 및 지도 방안 보현십원가의 문학성 및 지도 방안
최래옥, 「균여의 보현십원가 연구」, 『국어교육』29, 한구국어교육연구회, 1976.김승찬, 「균여전에 관한 연구」, 『문리대논문집』15, 부산대, 1976.
설명
임기중, 『신라가요와 기술물의 연구』, 이우文化사, 1981.
등을 들 수 있따
徐首生, 『國文學論攷』, 문리당, 1965.
지헌영, 『향가여요신석』, 정음사, 1947.
고려 전기의 향가 작품으로 가장 먼저 꼽게 되는 것이 균여의 普賢十願歌이다.
普賢十願歌는 균여가 한문경전을 읽을 수 없는 백성들이, <화엄경〉제40권에 보현보살이 10가지 행실을 소원한다는 내용의 〈보현행원품 普賢行願品〉이 있는데, 이 화엄경의 요점을 이해하고 마음에 새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뇌가로 지은 것이다. 향가의 해독을 비롯하여 갈래, 형태, 사상 등에 대한 논의가 집중적으로 전개되었고 수사법이나 미의식까지도 검토하기에 이르렀다.고 논란, 문학을 종교의 선전도구로 사용했음을 지적하고 이러한 문학 태도는 문학사의 전개상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점을 명백히 했다. 이어서 최근의 교수-학습 theory 을 정리(arrangement)해보고, 협동학습 원리를 적용한 普賢十願歌 지도대책을 구안해보고자 한다. 비록 스타트은 일본인 학자 小倉進平에 의한 것이라 오역도 많았지만, 1890년대 이후 현재까지 1500여 편의 논저들이 나오게 되었다. 漢詩가 발전하면서 鄕歌의 역할은 상대적으로 축소했고 따라서 향가의 모습도 變化되었으리라 추측된다된다. 이 가운데 균여의 普賢十願歌 11수를 다룬 것은 100여 편으로 크게 향찰론과 해독, 편자론과 작가론, 장르론과 작품론 등에 관한 글로 분류할 수 있따 향찰론과 해독을 다룬 것으로는
양희철, 「균여의 서왕가 연구」, 『서강대 박사학위논문』, 1986.
장르론과 작품론을 다룬 것으로는
김근수, 「균여전 시고 서설」, 『상은 조용욱박사 송수기념논총』, 1971.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보현십원가의 문학성 및 지도 방법
김두진, 『균여화엄사상연구』, 일조각, 1983.
순서
양희철, 「삼구육명에 관한 검토」, 『국어국문학』88, 국어국문학회, 1982.
2. 향가의 三句六名의 의미 고찰
‘三句六名’에 대한 旣往의 見解들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하나는 鄕歌 1수의 全體構造로 把握한
보현십원가의 문학성 및 지도 방안
향가의 형식에 대한 논의는 초기에 章句論이 주를 이루면서, 분절을 중심으로 향가의 대체적인 구조를 파악하는 데는 공헌하였지만, 그 율격 구조를 밝히는 데는 별로 이바지하지 못했다.
.
다. 고려조에 들어 향가가 쇠망한 요인도 여기에 그 하나가 있다고 아니할 수 없다. 향가에 대한 연구는 다른 고전 시가에 비해 초기부터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조동일 교수는 제4판 한국문학통사에서 기존의 향가와는 또다른 교술적 사뇌가로 평하기도 했다.(김광순 外, 『국문학개론』, 새문사, 2003 / 한국문학개설편찬위, 『한국문학개설』, 형설출판사, 1980 / 한국문학개론편찬위, 『한국문학개론』, 혜전서간, 1991)
정하영, 「균여의 문학효용론」, 『국어문학』25집, 전북대 국어국문학회, 1985.
편자론과 작가론을 다룬 것으로는
이재선, 『향가의 이해』, 삼성미술文化재단, 1979.
申碩煥, 「鄕札, 不喩仁, 將來, 頓部叱, 遣賜에 대하여」, 『계명어문학』4, 계명대, 1988.
김완진, 『향가해독법 연구』, 서울대출판부, 1980.





Download : 보현십원가의 문학성 및 지도 방안.hwp( 23 )
.
김동욱, 『한국가요의 연구』, 을유文化사, 1961.
, 「향찰의 기호학적 연구」, 『인문과학논총』10, 청주대 인문과학연구소, 1991.
신라의 노래라고 알려진 향가는 아마도 신라 때 가장 전성기를 이루었을 테지만, 고려 시대에 들어서도 일정 기간 존속하였다.
보현십원가의 문학성 및 지도 방법
김동욱, 『한국가요의 연구 속』, 이우출판사, 1980.
보현십원가의 문학성 및 지도 방법
김문기, 「삼구육명의 의미」, 『어문학』제46호, 어문학회, 1986.
그리고 국문학을 introduction하는 대부분의 개론서에는 창작동기가 불교포교인 점과 불경이 문학으로 높은 단계까지 승화되지 못해서 『삼국유사』소재의 불교 향가와도 차이가 있다고 설명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후 ‘三句六名’에 대한 관심이 일고부터 향가의 형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논의되면서 그 가락에 대한 연구도 이어졌다. 김기동, 「신라가요에 나타난 불교의 서언사상고」, 『신라가요연구』, 정음사, 1979.
보현십원가의 문학성 및 지도 방법
梁柱東, 『古歌硏究』, 搏文書館, 1942.
보현십원가의 문학성 및 지도 대책
, 「향찰 ‘叱’의 해독」, 『석정 이승욱선생 회갑기념논총』, 동간행위원회, 1991.
김준영, 『鄕歌詳解』, 동양당, 1964.
.
여기에서는 우선 향가의 형식에 대한 고찰을 하고, 普賢十願歌가 화엄사상을 어떻게 문학으로 형상화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화엄사상의 중추라고 할 수 있는 普賢行願品과 균여에 대해 알아본 후, 普賢十願歌를 현대어로 해독하여 그 텍스트에서 불교적 사상성과 균여의 문학의식이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향가의 해독이 완벽하게 이루어진다면, 향가의 가락은 작품 분석을 통하여 할 수 있겠지만, 해독이 완전하지 못한 현재의 상태에서는 三句六名의 해명을 통해 그 가락을 찾는 것이 향가의 구조를 제대로 파악하는 방법이 될 것이다. 바로 이 점 때문에 균여의 향가가 불교를 송찬하는 목적의식이 농후한 작품이라고 간과해 버리는 사람도 있따 이병기 교수는 향가문학의 말미를 장식하는 균여대사가 난숙한 향가문학의 수사와 기교를 이어 받아 불교선전의 한 기구로 삼아 향가를 이용하였다고 전제하고 보현십원가를 종교나 도학의 선전으로는 효능적일른지 모르나 문학예술시로서는 그리 찬양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