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FTA] 한 EU FTA 전자분야 미치는 영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2-27 22:16
본문
Download : 한_EU_FTA_전자분야19p.ppt
한미.한EU FTA와 경제전략 노순규 l 한국기업경영연구원 l 2007년 06월 18일 한-EU FTA현황과 전망 그리고 추진전략 이종원외 l 높이깊이 l 2007년 06월 22일
시기 : 2005년 8월13일 EU에서
7. FTA체결에 의한 기대efficacy및 대응measure(방안)
이르는 거대한 유럽경제권 형성될 것으로 예상
EU FTA, 한 – EU FTA 도, 한국의 전자산업 현황, 한-EU FTA 전자산업분, FTA체결에 의한 기대?
주요내용: 생산자는 WEEE마크부착,재활용정보제공, 재활용goal(목표) 달성, 비용부담, 보고등의 의무를 가지고있으며 의무를 준수하는 제품만이 EU내에서 판매가능

한미.한EU FTA와 경제전략(strategy)
한-EU FTA現況과 전망 그리고 추진전략(strategy)
GDP 14조 3천억(미국: 12조 9천억)
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이종원외 l 높이깊이 l 2007년 06월 22일
6. 한-EU FTA 전자산업분야 쟁점사항
FTA 전자분야 쟁점사항
=>2010년경에는 유럽을 중심으로 동구, 아프리카에
[EU FTA] 한 EU FTA 전자분야 미치는 영향
5. 한국 전자산업 제품의 대 EU 수입present condition
<중략...........>
■ 기대되는 수출증대efficacy: 전기전자/자동차 분야에서 많은 이득 예상
4. 한국 전자산업 제품의 대 EU 수출 present condition
3. 한-미 FTA 체결
EU
■ 거대한 단일시장: 인구 4억8천만(총25개 회원국),
한국의 최대 투자국(2006년 기준)
EU의 전자제품 페기물 지침의경우 생산자가 회수와 재생까지 책임지도록 규정되어있으므로 수출 업자의 큰 부담으로 작용
제품 생산자가 소비자에 의해 사용된후 소각, 매립되지않은 전기, 전자장비들을 일정한비율로 회수, 재활용하도록 의무화한것임.
한-EU FTA 도입배경
한 EU전자분야 FTA를 통해 이 지침을 축소시키거나 완화할것을 요구
EU의 신규회원국으로 가입될 예정
2. 한국의 전자산업 present condition
EU의 통합규격 인증마크의 경우 인증절차가 복잡하고 비용부담이 커 국내업계에 불만이 팽배
제정
노순규 l 한국기업경영연구원 l 2007년 06월 18일
■ 현재진행형인 확장국: 2007년 발칸의 일부국가 및 루마니아, 불가리아가
■ 한국의 주요교역대상국: 한국의 제 2대 수출대상국(제 4대 수입국),
한국
순서
Download : 한_EU_FTA_전자분야19p.ppt( 77 )
<중략..........>
WEEE : 전기전자장비 페기물 처리지침
1. 한 – EU FTA 도입배경
다.